본문 바로가기

☆ 경제·투자·재테크/세금·절약·절세·연말정산

(37)
OO화재 아파트 담보 대출 후기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지난 번 아파트 담보 대출을 알아본 후기를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아파트 담보 대출 알아본 후기 아파트 담보 대출 알아본 후기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작년 낙찰받은 아파트의 월세 계약을 맞추었고, 임차인 전입 전에 대출을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잔금은 우선 이율이 더 저렴하고 신청이 ungsteadyon.tistory.com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1금융권 은행에서는 다주택자의 경우 대출 실행 후 주택을 구입하지 않겠다는 약정을 해야함. 2. ○○화재 문의 결과 아파트 담보대출(구입자금 명목)은 잔금 치르고 3개월 이내에 해야한다고 함. 3. 단, 다른 주택을 구입하면서 2개 아파트의 대출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됨.(이때 두 대출금의 합이 나중..
2023 종합소득세 미신고 불이익 및 신고 수정 후 납부 과정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이전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것을 알아보다가 2023년 종합소득세를 제대로 신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2023년 당시 우리 가정은 2주택자로 월세 소득이 있었고, 기본공제 해당사항이 없는 것을 뒤늦게 확인하고 계산해보니 1,825,000원*15.4% = 281,050원 약 28만원을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어야 했는데 빼먹은 것 것이죠. 아마도 세무서에 등록도 하지 않아서 가산세도 나올 것입니다. 7300원이네요. 임대사업 등록에 관한 사항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사업자와 미등록임대사업자 차이점(세무서, 지자체 등록)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이번에 5월 종합소득세 신고에 관한 안내 문자를 받고 임대사업자 등록을 반드시 해야하는지? 구청등록과 세무서등록의 ..
2023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수정, 미신고로 인한 불이익 예상)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며칠전 카톡으로 문자가 하나 왔습니다. 국세청에서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달이라며,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안내하고 신고를 하라고 하는 문자였습니다. 작년 8월부터 거주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살던 집을 반전세를 내주고 조금 더 저렴한 집으로 월세를 살고 있습니다. 그 소득에 대한 세금을 신고하라는 것인가? 라는 생각으로 국세청 사이트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종합소득세란? 개인의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소득을 합해 매년 5월 종합소득신고를 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의 경우 매월 소득세를 원천징수하고 연말에 정산하므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필요가 없지만, 근로 소득 외에 소득이 있다면 개인이 직접 종합..
자동차 사고 시 ‘간접손해보험금’ 꼭 확인하고 청구하세요. 갑자기 '꽝' 車사고…아는 사람만 받는 '간접손해보험금' 새차 사고땐 시세하락손해 등 보험금 청구 # 직장인 A씨는 교통사고로 차량의 원상회복이 불가능해 차량을 폐차시키고 신차를 구입했다. 그리고 보험사로부터 등록세와 취득세 등을 지급 받았 n.news.naver.com ‘간접손해보험금’ 안녕하세요. 담꾸입니다. 운전을 하다보면 아무리 안전 운전을 한다해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고는 합니다. 저도 아찔한 빗길 미끄러짐 사고를 낸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대물, 대인 손해 보상에 대한 자동차 보험 가입이 의무입니다. 자동차에 가입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게 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자차 보험은 선택사항입니다. 사고로 폐차 후 신차 구입하면 보험사에 취·등록세 청구 가능 만약 자동차 사고를 당하면 각각의 ..
2022년 연말정산 과정 후기 2022년 연말정산을 했습니다. 저는 약간 돌려받고 아내는 토해냄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세금을 더 내야하네요. 연말정산은 1년에 한번 하다보니 늘 '이게 맞나?' 하는 과정을 겪습니다. 올해는 후기를 남겨 내년에는 실수를 줄이고 조금 더 효율적으로 준비해야겠습니다. 연말정산 몰아주기? 저희 부부는 제가 아내보다 소득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갑자기 '의료비, 보험료, 교육비, 기부금 등의 세액공제를 아내에게 몰아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카드사용액 등도 한 명에게 몰아주고요. 실제로 그렇게 반영을 해보니 받는 돈(+3만원→+15만원)은 많아지고 뱉는 돈(-50만원→-35만원)은 줄어들어 훨씬 이득이더군요. 결과적으로 실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본인이 사용한 금액만 공제 대상이 되고 본인 외 공제를..
2022년 가계 결산 및 2023년 목표 설정(저축률 50%!) 2022년 1년간 소득 지출 결산 우리 가족의 1년간 예산 사용 내역을 정리하였습니다. 월별로 수입과 지출을 관리했고, 1년 동안 총정리를 한 것입니다. 맞벌이를 하고 있는 우리 가족의 실수령액은 84,270,650원입니다. 엑셀 상에는 그렇지만 작년에 중간 성과금을 소득으로 잡지 않아서 그 부분까지 포함하면 실제 총 소득액은 약 92,270,650원으로 짐작됩니다. (2023년부터는 소득과 지출을 더욱 정확하게 통계할 예정) 총소득액(실수령액) : 92,270,650원(성과금 800만 원 포함) 월평균 : 7,689,220원 총소비액은 54,428,720원입니다. 소비는 매달 가계부를 작성했기 때문에 큰 오차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총지출액(실지출액) : 54,428,720원 월평균 : 4,535,7..
생명보험 가입 유지할까? 해지할까? 보험을 정리하다 직장일을 시작하면서 아무 생각없이 주위에서 하나쯤은 가입해야 한다며 추천해서 가입했던 보험들. 다행히도(?) 15년이 다 되어가도록 한번도 보장받지 않았다. 건강하다는 증거로 만족하기보다는 적어도 어떤 것이 보장되어 있는지는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격적으로 재테크 공부를 하기 시작하면서 납입금액이 많든 적든 불필요하다고 생각한 보험은 정리를 하기 시작했다. 현재 가입되어 있는 보험을 정리하고 종잣돈을 최대한 더 빨리 모으기 위해서다. 생명보험 유지할까 해지할까? 최종적으로 생명보험을 유지할지 해지할지는 고민이 되었다. 먼저 직장에서 보장되는 생명/암보험과 비교했다. 직장에서 보장되는 보험은 1년 단위로 계약되므로 퇴직 한 이후에는 보장되지 않는다. 보장내용도 턱없이 적었다. A사 ..
공무원 예상 연금액 및 퇴직금 조회 공무원 연금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연금예상액과 퇴직금을 조회할 수 있다. 공무원연금공단 www.geps.or.kr Step1.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 내연금보기 클릭 Step2. 로그인하기 Step3. 예상퇴직금 확인하기 Step4. 금액 확인(상세보기도 가능) Step5. 상세보기 Step6. 예상퇴직금 확인하기 이 연금예상액은 현재시점 퇴직할 경우를 계산한 결과이다. 오늘 날짜 퇴직시 2046년(만 61세) 1월부터 해당 금액을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미래 연금예상액을 계산할 수 있을까? 공적연금연계제도 사이트를 통해 대략의 미래 연금예상액과 퇴직금을 조회할 수 있다. 공적연금연계제도 www.ppsl.or.kr Step1.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접속 > 연금모의계산 클릭 Step2. 생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