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11월 - 광주, 전남, 전북
광주(비규제지역) : 매매거래량이 점점 줄어들어 평균거래량의 25% 정도만 거래, 전월세 거래량도 100% 아래로 거래되어 10월 기준 95% 거래됨. 전체적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분위기가 더 안좋아지는 것이 느껴짐. 지소지수가 전저점 수준까지 내려옴. 현재 급급매가 나와도 잘 거래가 안 되고 있음. 내년 금리 및 거래량 상승에 따른 시장 상황이 변동될 수 있을 수도 있음. 올해까지 입주물량이 많았지만 2023년부터는 공급이 부족함.
목포(비규제지역) : 가격 보합. 거래량은 60~70%정도. 전월세거래는 9월까지 230~240%까지 활발히 거래되다가 10월 들어 85%로 줄어듦. 현재 비교적 하락이 심하지느 않지만 무안 입주물량이 많아지고 있고 분위기가 더 안 좋아질 것을 예상됨.
무안(비규제지역) : 현재는 입주가 없으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함. 매매거래량 28%, 전월세거래량 50% 이하 10월 들어서 분위기가 급격히 안 좋아짐. 2024년 5월부터 입주량이 많아지고 이것은 목포에까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순천(비규제지역) :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음. 매매거래량은 50%대, 전월세는 100%정도임. 2023년 초까지 입주 물량이 있음. 그때까지 하락이 이어지지 않을까 싶음. 2025년 11월 2000세대 입주 예정.
여수(비규제지역) : 향후 2025년까지 공급이 부족한데 현재 분위기가 너무 침체되어 있음. 매매지수는 -100이고 거래량은 30% 수준임. 그나마 전월세 거래는 이루어지는 편임. 가격 하락세도 상대적으로 가파른 편임. 모니터링 하고 있을 필요.
광양(비규제지역) :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입주물량 과잉. 현재 미분양이 쌓이고 있음. 특이점은 현재 가격 하락세가 커지기 시작함. 매매 거래가 인근 도시에 비해서는 70~80%정도 나오고 전월세 거래는 100% 이하로 거래됨. 시장 상황이 좋아진다 해도 공급이 많아 사정이 좋지 않음.
나주(비규제지역) : 가격 하락세가 가파름. 2022년 10월에 1480세대 입주하고 그 이후 입주물량 2025년 1월(1550세대)까지 없음. 공급 분위기는 나쁘지 않으나, 광주와 마찬가지로 가격 하락세가 더 가파라 지고 있음. 현재 지소지수는 최저점(5.0)을 찍었음. 매매거래는 30~40% 수준이지만 전월세거래는 130% 정도임. 나주는 상승 시기에는 광주의 흐름을 뒤따라오고 하락기에는 그 하락폭이 더 크다는 것을 느낌. 가격 하락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니터링 필요.
전주(비규제지역) : 현재 전국적인 조정기에도 가격이 유지되었지만 약간 하락 시작됨. 거래량은 40% 수준으로 점점 내려가고 있음. 전월세거래는 잘 이루어지는 편임(110~130%). 향후 2024년 말까지 입주량도 없어서 하락 리스크는 적으나 거래가 잘 되지 않아 전월세 물건이 쌓이기 시작하면 가격 하락이 더 커질 수 있음. 보수적으로 지켜보다가 시장 상황이 반등을 하게 되면 눈여겨볼만한 지역임.
익산(비규제지역) : 현재 매매가가 하락하는 추세임. 매매거래량은 40% 수준이고, 전월세는 100% 아래임. 2023년까지는 입주물량이 적어서 거래가 적어도 전월세는 버틸여력이 있어보이지만 2024년 말부터 공급이 과잉임. 공급 과잉시기를 대비해서 출구 전략을 잘 세우던지 임대 전략을 잘 세울 필요가 있어 보임.
군산(비규제지역) : 현재 매매가가 하락하는 추세임. 거래량은 50%정도이며, 10월에는 전월세 거래량이 135%정도 거래됨. 2023년에는 입주물량이 별로 없어 임대시장은 크게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2024년에 입주가 약간 많아질 예정. 현재 시장 상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총평
전주, 광주(★★★)
여수(★★☆)
나주, 순천(★★)
군산, 목포(★☆)
익산, 무안(★)
광양(☆)
광주, 전남, 전북이 전월보다 훨씬 상황이 좋지 않게 가고 있음. 거래가 절반 이하로 대부분 떨어졌고 전월세 거래는 되고 있으나 거래가 되지 않아 전월세로 전환하는 매물이 늘면서 전세가도 떨어지고 덩달아 매매가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임. 그나마 전주는 공급 물량 등 현재 나쁘지 않은 시장 상황이고 광주, 여수도 2023년부터는 공급이 적음.
호남지역은 인천, 세종, 대구 등 타 대도시에 비해 아직은 하락세가 이제 시작되는 분위기임. 앞으로 더 안좋아질 가능성도 있으므로 차라리 현재 급격히 가격이 하락한 위 지역들을 모니터링하며 접근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듦.
만약 2023년 이후로도 계속해서 세계 경제 상황이 안좋게 흘러가고 금리 상승이 이어진다면 부동산 시장은 더욱 먹구름이 짙어질 수 있고 광주, 전남, 전북은 하락세가 적었던만큼 더 크게 하락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임.
'☆ 경제·투자·재테크 > 지역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분석] 22년 11월 - 충청, 강원, 제주 (0) | 2022.12.01 |
---|---|
[지역분석] 22년 11월 - 부산 울산 경남 대구 경북 (0) | 2022.11.30 |
[임장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 일대 (1) | 2022.11.23 |
[임장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일대 (0) | 2022.11.22 |
22년 10월 광주 관심지역, 관심단지 시세 (0) | 2022.11.02 |